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6

임장 뜻과 임장 방법 간단 정리 임장은 부동산 매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주변 환경을 파악하는 작업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임장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효과적인 부동산 임장을 위해 꼭 챙겨야 할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매매나 임대를 하시는 분들께서는 아래 내용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부동산 임장 뜻 임장은 부동산 물건의 상태를 확인하고 주변 환경을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우리가 과일을 살 때 꼼꼼하게 만져보고 살펴보고 구매하듯이, 부동산 임장을 통해서 매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매매, 임대를 하게 됩니다. 임장의 내용은 주거를 목적으로 하는 지,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지(상가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예를 들어 아파트를 임장을 간다고 하면, 세대 외적으로는 교통, 편의시설, 학군, 재건축과 호재(투자 목적) 등 전반적인 주변.. 2023. 3. 14.
무주택 세대주 기준과 무주택 세대주 되는 법 총정리 임대주택,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임차보증금 대출이자 지원, 디딤돌 대출 및 버팀목 대출 등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주거, 복지 제도에서 ‘무주택 세대주’를 자격 요건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 무주택 세대주의 기준과, 무주택 세대주가 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세대, 세대주, 세대원 먼저 "무주택 세대주" 중 "세대주"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세대주, 세대원 세대주는 세대의 대표자로써, 주민등록등본에 ‘세대주’로 등록된 사람입니다. 이것은 거주 형태(임대/자가)와 상관이 없으며, 반드시 주택 보유자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아버지가 집주인이어도, 아들이나 딸이 세대주가 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등본을 보면 세대주와 세대원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대 세대는 주민등록등.. 2023. 3. 2.
양육비 관련 복지 총정리 2023(아동수당, 부모급여, 첫만남이용권 등) 정부에서 지원하는 출산 및 양육비 관련 복지들이 많습니다. 부모급여, 아동수당, 양육수당 등 이름이 유사한 수당들이 많아서 헷깔릴 수 있는데요,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출산, 보육 및 양육비 관련 복지를 깔끔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출산을 앞두셨거나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께서는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각종 수당부터 알아봐요 주의: 나이는 전부 만 나이 기준입니다. 1. 첫만남 이용권 자녀 출생시 자녀당 200만 원 지원 2. 부모급여(기존 영아수당) 영아수당은 23년 이후 부모급여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만 0세 ~ 만 1세(0개월 ~ 23개월)까지 지급 만 0세: 월 70만 원(23년도), 월 100만 원(24년도) 만 1세: 월 35만 원(23년도), 월 50만 원(24년도) 3. 아동.. 2023. 2. 24.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신청하기 2023(출생신고 후 출산지원금, 산후조리비, 부모급여, 출산용품지원 등)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는 출생신고와 함께 각종 출산지원 서비스를 각 읍면동 혹은 정부24에서 한 번에 통합신청하는 서비스입니다. 출생신고와 동시에 또는 출생신고 이후 진행하실 수 있으며, 출산과 관련된 각종 수당과 혜택을 한 곳에서 신청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란?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는 부모급여, 양육수당 등 각종 출산 관련 지원서비스를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로, 출생신고 처리가 끝난 후에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지원 가능한 출산지원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국공통 지자체 서비스(지자체마다 상이) 부모급여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시도 출산지원금 다자녀 가족사랑카드 양육수당 다자녀 전기료, 도시가스료, .. 2023. 2. 22.
2023 부모급여 신청하기 총정리 2023년 1월 25일부터 만 0세~ 1세 육아를 지원하기 위한 부모급여 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만 0세 아동 월 70만 원, 만 1세 아동 월 35만 원이 지원되오니 22년생, 23년생 아이의 부모님, 예비 부모님들께서는 꼭 신청하여 지원받으시기 바랍니다. 목차 부모급여란? 부모급여는 정부에서 출산과 양육으로 인해 줄어드는 가정의 소득을 보전하고, 양육 부담을 낮추기 위해 2023년부터 새로 도입된 복지제도입니다. 지원대상 및 지원 금액 만 0세 아동(2023년 1월부터 태어나는 아동을 포함해 0~11개월): 매월 70만 원 만 1세 아동: 매월 35만 원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보육료 바우처 지원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만 0세, 만 1세 아이 모두 보육료 바우처를 지원 받을 수 있어요. 이.. 2023. 2. 20.
2023년 달라지는 제도 총정리! 2023년이 되면서 달라지는 제도를 정리하였습니다. 금리 상승 및 물가 인상으로 인한 각종 요금 인상, 부모 급여, 만 나이 폐지 등 피부로 느껴질 만한 변화들이 제법 있는데요. 생활인,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보들이 많으니 아래 글을 읽어 보시고 달라진 제도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2023년 인상되는 것들 서울 대중교통 요금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 서울 대중교통 기본요금이 올해 하반기 인상이 예정돼 있습니다. 2015년 이후 8년 만인데요. 서울시 측에서 300원과 400원 사이를 놓고 고민 중이라고 하니, 계속 지켜봐야겠습니다. 교통수단 교통카드 현금 인상 전 인상 후 인상 전 인상 후 지하철 1,250원 1,550원 1,350원 1,650원 간선 및 지선 버스 1,200원 1,5.. 2023. 2. 19.
반응형